2024. 10. 26. 오후 5 분당 야외공연장

중견무용가 조흥동 )한량무), 방영기(팔도소리).이순림(태평무. 입춤.진ㄴ쇠춤)/.유지영(장구춤)/황순임(진도북춤)

 

"님은 갔지만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님이 남긴 춤꽃 화원은 나날이 무성하게 만개화무하여 온 누리rk 님의 춤 향기로 가득합니다."

정금란 춤 전승보존회(호장 정은선)이 주최하고 성남문화재단(대표이사 서정림)이 후원한  "만개화무"는

 그 어느 공연보다도 화기애애한 가운데 객석을 가듣매운 관객에게 정즘란의 살아생전 춤을 향한 열정과

낙후된 성남문화상승에 대한 애착 정신을 되새겨 보는 분위로로 프로그램이 끝날때 마다 호응이 극장을 가득 메웠다.

아들 윤이 친구들과 객석에서 제 어머에 대한 후한이  간절했으리라.

님에데한 연민의 정을 주체하지 못함도 여전하지만 삶과 죽음이 엄연함을...

"님은 춤판을 비상하는 고고한 한마리 학이었습니다"( 비석에 새겼던 내 글)

고통없을 하늘 나라에서도 보고 있겠지?  님의 피붙이 정은선, 은파, 은미가 고모의 춤꽃을 정성드려 피우고 있슴을...

    사진: 정동주. 조성란 외 취합하여 게시)

-----------------------------------------

----------------------------옛 사진첩에서------------------------------------------------------------

 

* 공연사진 촬영: 정동주 사진작가촹영및 제공

* rhddus guswkd tmsotkwls: 조성란 폰 셀카

       

 

*문화 강연회》성남이 낳은 향토무용가 '故 정금란의 생애와 예술', 애제자 김미영 교수의 생생한 강연으로 듣는다!
□ 김미영 교수, "선생과의 에피소드들을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
정금란의 생애와 예술
오는 4월 26일(수) 오전 10시 성남문화원(원장 김대진)이 주최하는 성남학 아카데미에서 성남무용의 대모 故 정금란(1942. 4. 21~1994. 6. 28) 선생의 생애와 예술에 관해 그의 애제자인 김미영 교수(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문화연구소 연구교수)의 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정금란 선생은 한국무용의 뿌리인 한성준의 손녀 한영숙 선생에게 <살풀이춤>과 <승무>를 사사했고, 신무용의 대가 김진걸 선생에게 <산조춤>을 사사했다. 그래서 그의 춤에는 한영숙류의 단아함과 김진걸류의 호방함이 모두 녹아있다.
그는 1970년대에 예술의 불모지였던 성남에 정착해서 성남에서 한국 무용의 대중화와 성남시 예술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즉흥무>․<선열>․<추모의 정>․<산성풀이>․<환희>․<고목>․<학의 노래>․<구원>․<문>․<여명>․<예맥>․<잉여인간>․<무릉도원>․<무녀도>․<빛과 소리>․<풍속도> 등 예술성을 인정받은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이번 강연에서는 “그는 춤판을 비상하는 고고한 한 마리 학이었다.”라는 평을 받았던 정금란 선생의 생애와 예술을 살펴본다. 특히 제자 김미영 교수의 기억 속에 잊히지 않는 선생과의 에피소드들을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어려운 집안 형편에도 춤을 출 수 있게 은혜를 베풀어 준 정금란 선생이 당시 김미영 교수에게 했던 아래의 말을 김 교수는 지금도 늘 명심하며 살아간다고 한다.
“고개를 당당하게 들고 자신 있게 너의 미래를 위해 살아야 해. 기죽어서 고개 숙이고 목소리에 힘이 없고 눈빛에 힘이 없는 것을 나는 싫어한다. 지금은 나의 도움을 받고 나중에는 네가 나를 도우면 되는 거야. 그러니 나한테 당당하게 춤을 배워. 알았지? 집안이 가난하다고 자존심까지 가난하면 안돼!”
◇ 김미영 교수 / 성균관대학교
김미영 교수는 현재 경기전통예악원 2580 대표, (사)한국전통춤협회 성남지부 지부장으로 예술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악학궤범 악론의 동양사상 2580춤추는 당시 300등을 출간하며 연구자의 길을 걷고 있다.
김 교수는 '이번 강연을 통해 정금란 선생의 예술 세계만이 아니라 그의 참스승의 면모를 보여드리고 싶다'고 밝히고 있어 성남지역의 문화계 및 관심 시민들의 기대를 모우고 있다고 하겠다.
《강연회》는 오는 4월 26일(수) 10시 성남문화원 2층 강의장에서 개최된다.
□ 신한뉴스 고태우 대표기자
♧ greenktw@hanmail.net

'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38회 (2024) 성남무용제  (0) 2024.05.23
제 22회(2023) 정금란무용제  (0) 2023.11.07
상설공연 "맥"  (0) 2023.03.22
정금란 승 무에 바치는 노래  (0) 2023.01.14
2022, (wp21)정금란무용제  (0) 2022.11.11

근. 현대 전통춤 보존회

2023. 3. 21. 오후 3/ 5. 9 오후 3. 

리 -씨어터

 

 

* 이명남

*이지은(김평호 류 남도소고춤)

송수연 거문고(한갑득류 거문고 산조)

* 윤순자류 태평산조

* 최미숙( 한영숙류 태평무)
* 진행-이순림
* 조성준 피리
* 정은선 (정금란류 승무)

 

 

 

 

 

승 무에 바치는 노래 

                                         징소리

 

 하얀 고깔에 가린 얼굴이 낯 설었다.

긴 장삼 자락 끝에 할 말이 뭬 그리 많은지

 침묵으로 메달은 외침이 내 심장에 덕지 덕지 붙었다.

 

아둠속 여울진 여명에 색깔 풀어

그렇게 너와 나의 사랑을 훔칠 거나- ,

사랑을 나눌 거나.

 

허리춤에 한을 매달았지

- 아마도 그것이 나를 너에게 붙들어 맨 사랑이었던가,

  통곡이었던가!

 

 너를 놓아주고 돌아서

울고, 또 웃고...그렇게 어둠에서

네 승무 꿈 꾸었지

 

오늘도 찾아 헤매고 있지

네가 이승을 떠날 때 떨군

장삼, 고깔이 어디쯤 있는지.

 

                                                                         - 2011. 11. 24. 징소리 김성태  '정금란' 의 승무 춤에 붙임

( 암과 투병 중 마지막 승무를 추는 그대 모습은 그대의 혼이 아닌가.

허리춤에 메달은 변 주머니(직장암 수술 후 조치)를 간병하고 무대로 보낸 그대 춤판 열정은 목멘 내 아픔이었다.)

2022, (wp21)정금란무용제

2022. 11. 11. 오후 7.30

성남아트센터 앙상블시어터

주최 성남예총  주관. 대한무용협회 성남시지부(지부장 이영순)

후원. 성남시. 성남시의회. 정금란기념사업회

 

'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설공연 "맥"  (0) 2023.03.22
정금란 승 무에 바치는 노래  (0) 2023.01.14
청계산 마당바위이야기(정금란춤 보존회)-창작지원사업  (0) 2022.10.20
022, 성남무용제  (0) 2022.10.06
이매방" 춤의 기억  (0) 2022.08.20

* 성남문화제단 전통창작지원 공모작 선정

정은선 안무 "청계산 마당바위이야기"-정금란춤 보존회 주최 주관-

2022/ 10. 19. 경기아트센터 소극장.

- 징소리 김성태(사진: 폰셀카)

 

 

 

 

* 좌: 최미숙(출연. 정금란춤 보존회장). 필자

* 이주희(성남연극협회장. 출연). 이순림(한국무용. 태평무 이수자. 출연). 필자

'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금란 승 무에 바치는 노래  (0) 2023.01.14
2022, (wp21)정금란무용제  (0) 2022.11.11
022, 성남무용제  (0) 2022.10.06
이매방" 춤의 기억  (0) 2022.08.20
춤자이예술단 공연 :<8월 토마토>  (0) 2022.08.11

* 제 36회 , 2022 성남문화예술제 <성남무용제>가 대한 무용협회 성남시지부(지부장 이영순) 주관으로 개최, 

허리 디스트 진통을 참고 불편ㅁ하지만 꼭 착석할 의무같으 느낌으로 성남아트센터 앙상불 시어터를 가다.

프로그램을 사전에 받아보고 올 무용제도 기히 기대할 마음을 비웠으나 공연무대를 마주하면서

실망은 좌절로 바뀌고 성남무용제의 총체적 부실은 상실감에서 분노로 바뀐다.

프로그램 편성과 참여 출연단체(안무자 및 출연단체 대표자)의 선별과 철저한 검증 확인이 없고서는 성남무용제의 발전적 전망은 기대할 수 없는 상황!

공연 관람을 포기하고 돌아오는 마음이 절망감으로 가득하다. 

-어짜헐꼬...... 특단의 조치가 없이는 개선될 수 없는 허상의 예술단체!

-2022. 10. 5. 

-징소리 김성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