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별 혜는 밤

                                         

계절이 지나가는 가을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있습니다 .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혜일 듯합니다.


가슴속에 하나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혜 이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마디씩 불러 봅니다.

소 하교때 책상을 같이 했든 아이들의 이름과 패, 경 ,옥,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애기 엄마가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잼, 라이네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별이 아슬 히 멀듯이,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나린 언덕위에

내 이름자를 써보고

흙으로 덮어버렸습니다.


따는 밤을 새워 우는 벌레는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이름자 묻힌 언덕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 할 거외다

 

 
쉽게 씌어진 시(詩)
 

창 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시인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한 줄 시를 적어 볼까,

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보내 주신 학비 봉투를 받아

대학 노트를 끼고
늙은 교수의 강의 들으러 간다.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들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창 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으로 잡는 최초의 악수.


 

잃어버렸습니다.

무얼 어디다 잃었는지 몰라

두 손의 호주머니를 더듬어

길에 나갑니다.

 

돌과 돌이 끝없이 연달아

길은 돌담을 끼고 갑니다.

 

담은 쇠문을 굳게 담아

길 위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

저녁에서 아침으로 통했습니다.

 

돌담을 더듬어 눈물짓다

쳐다보면 하늘은 부끄럽게 푸릅니다.

 

풀 한 포기 없는 이 길을 걷는 것은

담 저 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이고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용정의 윤동주 역사전시관
글쓴이: inspace0 번호 : 136조회수 : 3512005.12.19 20:49
연길에서 버스를 타고 40분을 달리면 해란강이 흐르는 용정에 닿을 수 있다. 이 곳은 한국의 역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민족시인으로 알려진 윤동주가 중학교를 이곳에서 다녔고, 박경리의 대하소설인 토지(土地)에 나오는 배경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
용정은 1백년 전에 개척되기 시작했는데, 1980년 초까지는 황량한 원시림지대로 해란강 유역에 아름다리 나무가 울창했고 갈대와 가시덤불이 그득했며 온갖 맹수가 살았다고 한다. 1883년 봄, 함경도 회령에서 넘어온 조선농민이 처음으로 해란강 유역을 개척해 마을을 일구고 옛우물자리를 찾아 우물을 만들었다.
용정의 민속관에는 한국 교포들의 풍속, 항일의사들의 사적 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용정중학교는 일본통치시 항일의사들을 배양한 곳으로 교정에 있는 윤동주시인의 시비에는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새겨져 있다. 이처럼 용정은 한국의 항일역사와 함께 하였기 때문에 곳곳마다 한국 선조의 숨결이 배어 있다.


 

 
연대 시비 (겨울배경)
글쓴이: inspace0 번호 : 129조회수 : 2672005.12.19 20:49
전면:
'서시' 1941년 연전 문과 졸업문집의 서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있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 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에게 주어진 길을 걸어 가야겠다.

오늘밤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시비 뒷면의 글:


윤동주 : 연전 '38 문과

윤동주는 민족의 수난기였던 1917년
독립운동의 거점 북간도 명동에 태어나 그곳에서 자랐고
1938년 봄 이 연희동산을 찾아 1941년에 문과를 마쳤다.

그는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학업을 계속하며 항일독립운동을 펼치던 중
1945년 2월 16일
일본후꾸오까 형무소에서 모진 형벌로 목숨을 잃으니 그 나이 29세였다.

그가 이 동산을 거닐며 지은 구슬 같은 시들은
암흑기 민족문학의 마지막 등불로서 겨레의 가슴을 울리니 그 메아리 하늘과 바람과 별과 더불어 길이 그치지 않는다.

여기 그를 따르고 아끼는 학생 친지 동문 동학 들이 정성을 모아
그의 체온이 깃들인 이 언덕에 그의 시한수를 새겨 이 시비를 세운다.

- 1968년 11월 3일 연세대학교 총학생회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해 한용운-님의 침묵  (0) 2007.11.25
시인 김소월  (0) 2007.11.25
시인 정지용  (0) 2007.11.25
막차 -최영호  (0) 2007.10.30
사랑하는 별 하나 /소포- 이성선  (0) 2007.10.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