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  함

                                                               -  고 경 숙

 

                                                          그가 명함대신 자판기에서 커피 한 잔을 뽑아주었네 

 건네받은 종이컵 얄팍한 팔락임에 하마터면 손을 데일 뻔 했고

5할도 못 채운 커피의 단맛에 확 뱉어버리고 싶었는데,

 

  그가 쳐다보고 말했네 피곤할 땐 단 게 좋아요

 

  그의 땀냄새가 고스란히 컵에 지문을 찍고 노동으로 단련된 팔뚝 관절속으로 되돌아갔네 

그의 몸에는 뿌리깊은 우화가 서식하는 듯 입을 벌릴 때마다 웃음이 튀어나왔네  

 손바닥으로  치자 거스름반환구에서 동전들이 놀라 떨어지네 

 싱긋 겸연쩍은 손가락 사이에서 은빛 커플링 가랑가랑 사랑을 발아시키고  있었네 

 나는 실망했지만 묻지 못하네

 

  경쾌한 거짓바람과 거짓인사가 악수를 하네 연락 주십시오!

그를 기억하기 위해선 커피 냄새를 기억해야 하고,

웃을 때 보았던 치열을 떠올려야 하네 

내 것이 아닌 반지의 반짝임을 기억해야 하네

 

  그의 흐릿한 뒷모습을 기억해야 하네.

 

 

 

고 경 숙

                                   
 
                                          1961년 서울 출생
                                    2001년 계간 '시현실' 신인문학상으로 등단
                                    1999년 제4회 하나.네디앙 인터넷문학상 대상
                                    2000년 제2회 수주문학상 우수상
                                    2008년 제3회 두레문학상 수상
                                     <난시(暖詩)>동인
                                    한국시인협회, 한국문인협회 부천지부,
                                    부천여성문학회, 시산맥, 두레문학회,
                                    서시동우회, 정표예술포럼 회원
 
                                     現 수주문학상 운영위원
                                     수주문학제 사무국장
                                     부천예총 기획위원
                                     부천신인문학상 운영위원
                                     부천대 사회교육원 문학전문위원
                                     부천문화원 편집위원
                                     다시올문학 편집위원
                                     두레문학 편집위원
 
                                      시집 <모텔 캘리포니아>(2004)
                                      <달의 뒤편> (2008)

 

[출처] 명함/고경숙|작성자 자작나무

 

 

 

고경숙 시집『달의 뒤편』. 2001년 '시현실' 신인문학상으로 등단한 고경숙 시인의 두 번째 시집이다.

시인은 주변부의 삶과 풍경을 관찰한다.

 또한 마침표와 쉼표, 말줄임표 등의 문장부호를 차용해 생의 궤적을 이야기하면서 세상에 흔적을 남기고

싶은 자신의 존재를 고민한다.

 

 

'난시' 동인으로 활동 중인 고경숙 시인의 시집이다. 모텔 캘리포니아는 철지난 바닷가에 위치한 숙박업소이다.

여행자의 임시 거주지에 지나지 않는 이곳에 모이는 사람들은 소외와 실패를 겪은 사람들이다.

자의든 타의든 사회적 경쟁에서 탈락한 사람들, 그 주변부적 삶에서 시적 화자 역시 예외적이지 않다.

입구만 있고, 출구는 막혀있는 막다른 현실에 대한 은유인 모텔 캘리포니아에서 시인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의 의미에 대한 모색을 멈추지 않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