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정겹기도 하지만 때론 울컥할 수도 있겠다. 별 감정 없이 툭툭 찍어 놓은 듯한 잔잔한 흑백사진 속 풍경들은 우리가 이미 잊고 지낸 옛 기억이다. 한국 사진작가 1세대로 꼽히는 임응식(1912~2001)의 대표작들을 모은 전시 '임응식-기록의 예술, 예술의 기록'전이다.
임응식은 '사진이 예술이긴 한 거냐.'는 물음표가 달려 있던 1930년대부터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사진 1세대로 꼽히는 이유는 빨리 시작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질문에 '네, 사진도 예술입니다.'라고 확실하게 대답했기 때문이다. 1952년 한국사진가협회를 창립하고 1957년 뉴욕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사진전 '인간가족전'를 국내에 유치해 30만 관객을 끌어모았던 이도 그였고, 1982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첫 사진전도 바로 그의 개인전이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종군기자 시절 전쟁 참상 목격… 리얼리즘 작가로
임응식은 원래 예술 사진으로 시작했다. 인물과 풍경을 찍되 요즘 말로 치자면 '간지'나게 찍었다. 포토그래피가 아닌 포토그램이라는 기법이 대표적이다. 포토그램은 사진기 없이 필름 그 자체를 직접적으로 노출시켜 인화하는 기법으로, 마치 물감을 풀어 놓은 듯
피사체를 잡아낸다. 자신의 성 '임'을 따라 '림스그램'이라는 기법까지 개발해 냈다.
그러던 그가 리얼리즘으로 돌아선 결정적 계기는 6·25전쟁이다. 부산에서 살았던 그는 전쟁을 실감하지 못하다
인천상륙작전 때부터 종군기자로 투입되면서 큰 충격을 받았다. 모든 것이 파괴된 전쟁의 폐허에 서서 그는 웬 예술 놀음이냐 싶었다 한다. 그래서 나온 것이 그의 대표작이다. '求職'(구직)이란 글자를 써서 서울 명동 미도파백화점 앞에서 목에다 걸고 있는 청년을 찍은 1953년작 '구직', 폭격으로 다 타 버린 앙상한 나무 아래서 그 나무처럼 헐벗은 아이들이 있는 풍경을 잡아낸 1953년 작 '나목'(木) 같은 대표작이 좋은 예다.
전시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돼 있는데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3부 '명동, 명동사람들'이다. 조선의 중심이 종로였다면 일제의 중심은 명동이었다. 이후 강남으로 넘어가기 전까지 한국의 압축적 근대화가 가장 집약된 곳이 바로 명동이었다. 임응식은 6·25전쟁 당시 종군기자로서 명동을 찍기 시작한 이래 50년간 바로 이 명동을 찍었다. 그 오랜 세월 동안 찍었던 명동 사진을 모아 한번 전시회를 열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해서 이번 3부 코너에서는 그간 공개되지 않고 유족이 보유하고 있었던 신작들이 대거 소개된다.
●50년간 담은 명동사람들 미발표작 공개
이 가운데서도 핫팬츠, 미니스커트 등 젊은 여성들의 패션에 집중한 '명동의 패션', 명동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문인, 화가, 음악가, 연극인의 초상을 기록해 둔 '명동의 인물' 편은 웃음을 자아낸다. 6·25전쟁 때와는 좀 다른 이유로 '헐벗은' 인물들이 나오는 '명동의 패션'을 보고 있노라면 '요새 것들' 운운하지만 '옛날 것들'도 만만치 않았다 싶기도 하고, '명동의 인물'에서는 각 인물에 대한 소개와 특징이 설명돼 있어서 평소 이름을 들어 봤던 명사들에 대한 촌평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아버지처럼 사진작가의 길을 걸었던 맏아들 임범택(73)은 아버지에 대해 "아주 정이 많으면서도 작업에서만큼은 엄격했다."고 회고했다. 임범택은 또 "6·25전쟁 이후 부산에서 미군을 상대로 사진현상소를 하면서 꽤 많은 돈을 벌었는데 그 돈으로 이후 50년을 쓰고 살았다."면서 "덕분에 자식들에게는 한푼의 돈도 남기지 않았다."며 웃었다. 전시는 내년 2월 12일까지 서울 중구 정동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 2000~5000원. (02)2022-060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