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2.21~12.25일 까지 성남타임주 주관으로 삼학사추모제와 삼학사중수비가 보관된 전시장, 삼학사재중수비가 건립된 중국심양의 발해대학을 다녀온바 있다. 나라사랑의 충절이 더욱 간절한 오늘, 삼학사의 역사적행적을 요약이나마 되돌아 보는것도 현대인의 애국관에 새로운 성찰의 계기가 될것이다.
오달제吳達濟 1609(광해군 1)~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의 화의(和議)를 반대한 3학사(三學士) 중 한 사람이다. 본관은 해주(海州). 아버지는 윤해(允諧)이다.
1634년(인조 12)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해 전적·시강원사서를 거쳐, 이듬해 정언·지평·수찬 등을 지냈다. 1636년에 부교리로 있을 때 청이 사신을 보내 조선을 속국시하며 굴욕적인 조건을 제시하자 청나라 사신을 죽이자고 주장했으며, 주화파(主和派)인 최명길(崔鳴吉)·이민구(李敏求) 등의 주장에 따라 사신을 교환하게 되자 이들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해 겨울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에 들어가 끝까지 척화를 주장했다. 이듬해 인조가 삼전도(三田渡)에서 굴욕적인 항복을 한 뒤, 청에서 척화론자의 처단을 요구하자 스스로 척화론자로 나서서 윤집(尹集)·홍익한(洪翼漢) 등과 함께 청나라 심양(瀋陽)으로 끌려갔다. 그곳에서 고문과 회유에 굴하지 않고 항변하다 심양성 서문(西門) 밖에서 처형당했다. 그의 절개를 기리기 위해 고향에 정문(旌門)을 세웠으며, 영의정에 추증했다. 광주(廣州) 현절사(顯節祠), 평택 포의사(褒義祠), 홍산 창렬서원(彰烈書院), 고령 운천서원(雲川書院), 영주 장암서원(壯巖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충렬공유고 忠烈公遺稿〉가 있으며, 〈묵매도 墨梅圖〉 2점이 전한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청태종은 강화도에서 잡은 포로를 송환한 다음 그들의 진중에 억류하였던 세자, 세자빈과 봉림대군을 인질로 하고 척화론의 주모자 오달제와 윤집을 잡아 심양으로 돌아갔다. 적장 용골대(龍骨大)는 오달제의 기개와 뜻을 꺽기 위하여 처자를 거느리고 청나라에 와 살 것을 권유하며 회유도 하고 협박도 하였지만 그는 죽음보다 두려운 것은 불의(不義)라 주장하면서 저들의 말을 좇으면 오랑캐가 되고 마는 것이라하여 끝내 굽히지 않았다. 마침내 심양성 서문밖에서 윤집, 홍익한과 함께 처형을 당하니 세상에서 이들을 삼학사(三學士)라 부르며 그 절개와 충성심을 높이 기리게 되었다. 오달제가 심양에서 처형당하자 기이하게도 그가 태어난 원삼면 학일리(學日里) 마을에는 모든 풀들이 말랐다고 하는데 이로인해 지금도 마을 이름을 고초골(枯草谷)이라 부른다. 그는 묵매화(墨梅畵)에도 뛰어났는데 어몽룡(魚夢龍), 조속(趙速), 허목(許穆)의 화풍을 따르면서도 명나라 화풍의 영향을 받아 구도가 조금은 번잡한 감을 준다고 한다. 그의 그림으로 《묵매도(墨梅圖)》2점이 전하며 이러한 구도의 묵매화는 뒷 날 조지운(趙之耘), 홍수주(洪受疇), 박동진(朴東晋), 조희룡(趙熙龍), 이공우(李公遇)등의 그림에 영향을 주었다. 삼학사의 절개와 충의는 효종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포상되었는데 좌승지·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충렬(忠烈)이라는 시호가 내려지고, 광주(廣州)의 절현사(節顯祠), 평택의 포의사우(褒義祠宇), 홍산(鴻山)의 창렬서원(彰書烈院), 영주의 장암서원(壯巖書院), 고령의 운천서원(雲川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충렬공유고(忠烈公遺稿)》가 있고 현재 모현면 오산의 양촌마을에 자리한 그의 묘소에는 평소 착용하던 요대만 묻혀 있으며 그 앞 좌우에는 부인 의령(宜寧) 남씨와 고령(高靈) 신씨의 묘가 있다.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박상돈
의대(衣帶)만 모신 추담(秋潭)의 유택
추담(秋潭)의 유택은 모현면 오산리 산 47번지에 있으며, 입구에는 신도비와 그 뒷쪽에는 하늘을 찌르는 전나무가 있다. 몇 백년은 된직한 이 나무는 장방형 기단에 팔작지붕을 얹은 신도비 만큼이나 의젓하고 당당해 보인다. 농가 옆 길을 오르면 소나무가 양쪽으로 시립한 산 길이 있고, 그 입구에 안내판이 서 있다. 가파른 길을 오르니 묘 3기가 삼각형의 형태로 모셔져 있는데, 앞 쪽에는 부인 2분의 묘를 나란히 모시고 뒷쪽 중앙에 추담을 모시었다. 부인들 묘 중앙에는 ‘贈貞敬夫人 宜寧南氏之墓. 贈貞敬夫人 高靈申氏之墓’라고 새긴 비석이 있고, 추담의 비석은 없다. 그러나 묘 앞 쪽 문신석은 크기가 동자상만 하여 의아한 생각이 들었다. 이끼가 끼인 점으로 보아 이 석물은 부인들 묘의 석물이었으나, 그 후 추담의 의대를 모시면서 그대로 세운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신도비는 화강암으로 김조순(金祖淳)이 짓고, 이상근이 글씨를 썼다. 멀리 정(鄭)포은의 산소가 바라다 보이는 추담의 묘는, 의절(義節)의 외로운 혼들이 세월을 뛰어 넘어 왕래하는 듯하다.
김성태/경기예총 수석부회장. daum.net자료참조. 요약정리
|
기사등록 : 2006-01-07 08:53:4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