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 율동공원 조각공원내^^ >
-‘3·1절 노래’ 작곡가 박태현 노래비에서...-

김성태 회장은 "박태현 노래비는,
웅비하는 성남문화의 상징이고,
향토 예술인들의 예술적 지표로..

성남 3·1절 행사를 준비하며, 3·1절 노래 작곡가 박태현 선생 노래비가 있는 분당 율동공원 조각공원에 다녀왔다.

故박태현 선생은, 1980년대초 성남에 정착해서 87세로 타계 하실 때까지, 성남 문화예술계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해주셨던 분이다.

'3.1절 노래', '한글날 노래' 와 '산바람 강바람’, ‘태극기’ 등 동요 작곡에 일생을 바치고, 생애 말년엔 독립운동가 故이용상(前성남문화원장)선생의 노랫말에 곡을 붙인 애향곡 '나 성남에 살리라'를 마지막 유작으로 남겨, 성남에 대한 진한 애정을 남기셨다.

박 선생님은 평양에서 태어나서 평양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도쿄음악학교(현 도쿄음대)에서 첼로를 전공한 뒤, 우리에게 친숙한 동요 ‘코끼리 아저씨', '산바람 강바람' , '달 따러 가자', '태극기' 등 200여곡을 작곡했고,

광복이후, '한글날 노래' 와 '3·1절 노래' 를 작곡하시며 , 1989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KBS 동요대상' 수상 , 2001년 성남예총 추천으로 '은관 문화훈장'을 추서 받으셨다.

고인의 음악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8년부터 성남예총 (당시 회장 김성태)과 성남음악협회 (당시 지부장 박용준)는, 1999년 ‘박태현 음악상’ 제정과 ‘박태현 음악제’를 창설했다.

2003년 3월 성남지역 음악인과 지인들이 모여 '박태현기념사업회'(회장 김성태 前성남예총 회장)를 발족하고, 2007년 선생의 탄생 100주년 기념으로 선생이 만든 동요, 가곡, 성가곡, 고시조 등 132곡 악보를 한데 묶어 '박태현 노래집'을 발간했으며, 이후에 선생의 대표곡이 담긴 '박태현 동요집' CD를 제작 배포했으며, 매년 성남음악협회는 성남 박태현 전국창작동요제를 개최하고 있다.

또한, 2008년 11월에는 분당 율동공원 조각공원에 선생이 어린이와 함께 배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의 ‘작곡가 박태현 노래비' 상징 조형물을 이종희 조각가의 작품으로 성남시에서 설치했다.

김성태 박태현기념사업회장은, 당시 박태현 선생 상징 조형물 제막식 축사에서 "문화의 황무지에서 출발하여 오늘의 문화도시 성남이 있기까지는, 작고 선배 예술인들의 희생과 열정이 밑받침이 되었고, 그 가운데 박태현 선생이 있었다".

"박태현 노래비는, 웅비하는 성남문화의 상징이고, 향토예술인들의 예술적 지표로, 이곳을 찾는 시민들에게 위대한 한 음악가와 더불어 이 땅에서 살았다는 문화적 긍지를, 어린이들에게는 꿈과 희망을 전하는 교훈을 주게 될 것이다. 오늘 우리는 한국 음악사에 또 하나의 큰 이정표를 세웠다.“

"한 음악가의 예술적 업적과 생애가 노래비로 새겨져 율동공원을 찾는 사람들의 마음 안에 살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매년 3·1절이 돌아오면, 김성태 前성남예총 회장님, 고인이 되신 김병량 前성남시장님과 윤범식 기자님, 윤금선 동요 선생님, 박태현 선생 묘소 앞에서 박용준 지휘자님과 성남청소년오케스트라 단원들이 3·1절 노래 ‘헌가식’에 함께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ㅡ김정진 페북

+ Recent posts